코로나는 전파력은 강하지만 치사율이 높은 편은 아니고 연령이 낮을수록 증상이 없거나 자연치유율이 매우 높다.
오늘 코로나 확진자 최대치보고 치료제 개발 근황 좀 찾아 봄.
코로나 치료제 공언한 회사마다 대부분 임상결과 발표한거 같고 국내 승인 받은 국산 치료제는 아직 셀트리온 꺼만있다.(렉 뭐시기)
어쨌든 피라맥스라는 치료제가 눈에 들어옴.
나름 공부한 결과를 정리해볼테니 따라와 보도록.
임상 발표 주요 결과
1. 3일차 바이러스 감소량 96.3%
(위약군 감소량 34.5%)
2. PCR 음전율은 위약군 대비 의미 있는 결과 없음
알아보니 PCR 음전율은 위양성(음성인데 양성으로 판정)률이 높아서 임상지표로는 중요하지 않다고 한다.
(연구 논문이랑 기사 몇 개, 미국사례 등 확인 완료)
- 잘 정리된 기사 하나
작년부터 나온 이야기인데 PCR의 한계에 대한 내용 관련 논문도 많이 있음.
그래서 중요한 건 1번인데 돌아다니는 카드뉴스를 봤다.
피라맥스 만드는 회사 신봉자(주주?)들이 만든 과대홍보 자료일 것으로 판단했으나
열린마음으로 회사 임상결과자료와 카드뉴스? 비교해보니 일단 임상결과 내용 그대로를 옮긴것은 맞다.
<<피라맥스 임상결과 공시결과 링크>>
내용이 사실임을 확인하고 계속 알아보기로 한다.
이상하다.
치료제로 써도 될 것 같은데 왜 안쓰지?
(3일차 바이러스량 감소가 눈에 들어옴)
그리고 피라맥스는 말라리야 약으로 수년전 개발되어 어린이도 먹을 수 있고 임산부 대상으로도 어쩌고
(대략 안전성은 충분히 확보되었다는 뜻)
어제 저녁부터 꽤 오랜시간 찾아봐서 수박겉핥기로 전문가가 되어가고 있다.
아마 임상 2상에 참여한 임상환자가 적어서 치료제로 승인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 치료제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 같은데 다급한 상황이면 써도 될 거같고 나도, 가족도 코로나 걸리면 치료제로 복용해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함.
미국, 영국, 이스라엘 보니 백신 접종률 높아도 변이 등에 의한 돌파감염이 계속 나오는 것 같고 그냥 공존을 택하는 듯 하므로 치료제가 나왔으면 한다.
결론 :
그래서 피라맥스 처방 가능한지 알아보는 중.
뮤직카우와 음원저작권료 배분 (0) | 2021.07.31 |
---|---|
음원 저작권 투자 뮤직카우 음원 선정 팁 10가지 및 투자 후기 (0) | 2021.07.30 |
아파트 후분양 금융비용과 사업자의 장단점 (0) | 2021.07.27 |
5차 재난지원금 88% 기준 (0) | 2021.07.23 |
의료 AI 기업 분석 - 뷰노/루닛/코어라인소프트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