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주제별 raw data는 아래 엑셀 파일 다운로드 하셔서 보면 됩니다. 출처는 통계청입니다.근로소득 연말 정산 신고 data 원천징수지 기준
근로소득 연말 정산 신고 data 주소지 기준
https://timd.tistory.com/m/222
거주지별 평균급여 높은 곳 - 2020년
평균급여가 높은 동네는 어디일까? 얼마 전 국회의원이 주소지 기준 평균 급여액을 분석한 것이 기사화되서 전체적으로 확인해봤다. 서울 강남구 7440만원 vs 부산 중구 2520만원...근로자 연봉 지
timd.tistory.com
https://timd.tistory.com/m/221
지역별 평균 급여가 높은 곳 - 2020년
지역별로 평균 급여가 높은 곳은 어디일까? 근로자의 거주지가 아닌 원천징수지 기준이므로 해당 지역 기업들의 평균 급여 수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수도권과 지방으로 구분해서 보자. 평균
https://timd.tistory.com/m/220
일자리 증가율이 높은 곳은? (2016~2020년)
일자리가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어디일까? 전통적으로 일자리가 많은 곳 외에 정부 정책이나 기업 이주/투자에 따라 기존 대비 일자리 증가율이 높은 곳을 찾아보자. 기존 일자리가 적은 지방
https://timd.tistory.com/m/219
일자리가 증가하는 지역은? 2016~2020년
일자리가 증가하는 지역은? 통계청 데이터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만 나오는데 2016년 대비 2020년에 근로자 수 증가한 지역은 어디일까? 원천징수지 기준으로 연말정산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계청
https://timd.tistory.com/m/218
지역별 근로자 수(2020년) - 원천징수지 기준
지역별 근로자 수는 몇명일까? 우리나라 행정구역은 크게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대전, 충북, 충남, 세종, 광주, 전북, 전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제주로 나뉘고 시/군/구로 나누면 289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