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바이오헬스기술 지주회사 설립과 송도 이전 가능성
연세대에서 바이오헬스기술 지주회사를 설립함
21년10월 교육부 인가를 받고
22년 11월 정식으로 개소
위치는 신촌세브란스 본원
운영방향
![](https://blog.kakaocdn.net/dn/cYo4WM/btrXVSKmcZO/iqsKtTYKoBSH4PSadTVLik/img.jpg)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대학의 지식 및 IP,
병원의 임상 인프라 등을 통해 사업아이템을 발굴하고 사업화를 지원하거나
바이오/의료기기/다국적대기업으로부터 R&D를 지원받고 기업 및 금융기관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자회사를 설립하고 수익을 창출하겠다는 것.
지주회사 홈페이지
http://ysubioholdings.com/society/sub06.html
연세대학교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
오시는길 <!-- * 카카오맵 - 약도서비스 * 한 페이지 내에 약도를 2개 이상 넣을 경우에는 * 약도의 수 만큼 소스를 새로 생성, 삽입해야 합니다. --> 지하철 : 경의중앙선 신촌역 하차 → 도보 약 10
ysubioholdings.com
물론 신촌본원에 암센터 등 중요한 기능들이 모이는 것은 당연하나
바이오하면 송도,
송도에서 연세대의 중요도를 감안하면
연대 바이오 지주회사가 신촌에 있는것이 조금 아쉬움
조금 더 검색해보니 송도로 올 가능성이 보임.
연세대산학협력단에서 100% 투자 한 것.
![](https://blog.kakaocdn.net/dn/yO3kL/btrXVyyn4fd/Z7TzQSILW2SqLQZ4GBGCXk/img.png)
연세대, '기술지주' 앞세워 바이오 투자 매진
교비계정 등을 활용해 수천억원 규모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법인 연세대학교가 더 과감한 투자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단순 투자로 시세차익을 노리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기술협력
m.thebell.co.kr
연세대는 공익목적의 산학협력단을 만들고 협력단 산하에 '연세기술지주'를 2011년 설립해서 기업에 지분투자 등을 했는데 바이오 비중이 높아지자 '바이오헬스기술지주'를 별도로 설립하게 된 것으로 보임.
기사내용 발췌)
![](https://blog.kakaocdn.net/dn/bvC293/btrXWKdXys5/nDlODcgpWVkzdw6RbdScs1/img.jpg)
그리고
교육부에서 산학협력단지를 위한 대학을 선정했는데
2020년에 선정된 대학 2곳 중 하나가 연세대.
(선정되면 매년 수십억 지원)
그리고 연세대는 송도캠퍼스에
바이오산학협력단지를 조성하였음.
이미 기업을 입주시켰는데 연세대 교원이 창업한 회사도 있음.
연세대학교 산학연협력단지사업단
link.naver.com
![](https://blog.kakaocdn.net/dn/bcAJjy/btrXUp96uQi/eOlthhP2B35jv6zAb1K3lK/img.jpg)
그리고 여기에 '제약바이오실용화센터'가 활용될 것으로 보임
제약바이오실용화센터 목적과 진행상황
송도 연세대학교 부지에 들어올 제약바이오실용화센터. NIBRT 나 랩허브 등에 비해 주목을 못받고 있지만 진행속도가 빠른편이다. 최근에 나온 입찰공고문 출처 : 송도국제화복합단지개발 http://w
timd.tistory.com
![](https://blog.kakaocdn.net/dn/cmeUGZ/btrXVre8b4N/Dk3hu9EGnf7iqVhvjP4gSK/img.jpg)
종합해보면
연세대 '산학협력단'에서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 설립
연세대 '산학협력단지사업단'은 협력단지 위치를 송도캠퍼스로 정하고
바이오기업들을 송도 연대캠퍼스 건물에 입주시킴.
기업들 중에는 교원들이 창업한 곳도 있음.
23년에는 제약바이오실용화센터 착공 예정인데 산학협력실이 가장 큰 면적 차지.
송도 세브란스 지어지면 임상인프라도 갖춤.
즉,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에서 하고자 하는 것이 송도에서 실행되고 있고 곧 완성될 예정이라는 뜻.
결론
연세대는 바이오에 진심인 것으로 보임.
연세대가 만든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도 송도로 옮겨올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