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외국인학교, 국제학교, 대안학교

송도2030 2022. 7. 28. 22:07






다들 국제학교라 부르며 '인가'가 났는지 안났는지 중요시 하는데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보자.

교육부 '인가'를 받았다는 것은 교육부의 관리하에 있다는 뜻으로 교육부가 '인가'받은 학교 전체를 감독하며 정보를 공시한다.
공시 내용은 학교 교육과정, 학생 수, 교사 수, 학교와 법인의 회계, 졸업생의 진로현황 등.

회계 등 운영상태를 보기 때문에 갑자기 폐교하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설립취지에 따른 교과과정으로 분류해보면 외국인학교/국제학교가 같이 묶이고 대안학교는 다른 분류라보면 되겠다.

아래 표에서 가운데 외국인학교가 있고 (인가)국제학교라 부르는 6곳은 외국교육기관이 설립한 2곳(송도,대구)과 특별법에 따라 제주도에 설치한 4곳으로 구분된다.





보통 교육부 인가가 국내학력 인정으로 사용되나 외국인학교에서 보듯 교육부인가 받아도 국내학력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





외국인 학교(대략 40개교)

입학자격

외국인 또는 해외거주요건 충족한 내국인
(국내교육과정 인정되지 않음, 유일하게 청라 달튼 외국인학교는 국내교육과정 인정)


국제학교

인가 국제학교 7곳


인가 받은 국제학교는
합법적으로 영어를 포함한 모든 과목을 가르킬 수 있고 전문 외국인강사 채용할 수 있는 비자신청 등이 가능하며 교육부 국제학교 인가기준 통과했기 때문에 수준이 높으므로 학부모가 신뢰할 수 있다. 국내교육과정이 인정된다.

입학자격
내국인 가능하나 정원의 30%~100%까지 제한.

송도 2(채드윅, CMIS)
대구 1(DIS)
제주 4
- BHA (브랭섬홀아시아)
- KIS Jeju(한국국제학교)
- NLCS Jeju(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 SJA Jeju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송도 국제학교 관련 정보 링크⬇⬇

Click - 송도 국제학교 정리


비인가 국제학교 (많음)

비인가이므로 국내교육과정 인정되지 않음.
대부분 해외교육기관 인증.




사실 외국인학교와 인가 국제학교까지는 경계선이 명확하나 비인가 국제학교와 인가대안학교, 비인가 대안학교의 경계선은 불분명하다.

비인가 '국제학교'인줄 알았으나 '대안학교'로 등록되었을 수도 있고 해외기관의 인증을 받아 국제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대안학교'도 있다.



대안학교

개인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대안학교+목록(220401기준).hwp
0.02MB

대안학교는 매우많다. 이중에 어떤 학교는 국제학교 처럼 운영된다.(GVCS 등). 목록에 없는 비인가 대안학교도 매우 많다고 한다.(학교 명칭 쓰면 안됨)



대안학교는 원칙적으로 외국어가 우선이어선 안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교육과정을 할 수 없다.
그러나 현실은
국제학교라 부르며 외국대학입시 목적의 커리큘럼으로 운영되는듯한데 최근 법 바뀌어서 점검 들어가면 이슈가될 수도 있음.
어쨌든 설립취지가 다른 학교 임은 분명.


아래 법령 원문. 5조9항 참조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령





대안학교 인가/비인가? 장단점


대안학교 인가 장점
국내학력 인정
상위기관의 관리감독으로 지속성 높음
(비인가 학교는 운영난으로 갑자기 폐교되는 경우도 있음)

대안학교 인가 단점
자유로운 커리큘럼 어려움


여러가지 설립목적이 있으나
현실은 대한민국 입시를 위한 통로의 하나

유일한 공통점은 학비
비싸냐 엄청비싸냐의 차이만 있다.



마무리

기회가 된다면 인가된 국제학교 보내는게 최선이다. 국내학력인정이 되므로 상황이 바뀌면 전학갈 수도 있고 국내대학은 물론 외국대학 진학도 수월하며 안정적이고 교육수준도 높기 때문이다. 플랜B가 있다는 것이므로 리스크헷지가 되는셈. 인맥이나 기타 장점도 많으나 그만큼 비싸다.

대안으로 비인가 국제학교나 비인가 대안학교, 인가 대안학교를 보낼 수 있는데 역시 플랜B를 생각한다면 인가 대안학교가 나을 수 있다. 다만 합법?적인 국제학교 교육과정인가 하는점은 의문이다.
비인가여도 국제교육과정으로 인정받은 비인가 국제학교나 비인가 대안학교 중 그동안 졸업생들의 진로현황이 좋고 대학입학/진로 상담이 잘되는 규모있는 학교라면 외국대학 입학에는 더 도움 될 수도 있다. 엄밀히 말하면 비인가학교는 학교가 아닌 학원이기도 하다.





**용어설명

외국교육기관 :
외국에서 외국법령에 의해 유아·초등·중등·고등 교육기관을 설립·운영하고 있는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법인이, 우리나라 교육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국내에 설립한 교육기관을 말합니다.

외국인학교 :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의 자녀에게 본국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된 학교로, 외국에서 3년 이상 거주하고 귀국한 내국인도 학생 정원의 일정 비율 한도 내에서 입학이 가능합니다.

제주 국제학교 :
제주도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제주 영어교육도시에 설립된, 국민의 외국어능력 향상과 국제화된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학교를 의미합니다. 제주국제학교는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 및 고등학교 과정으로 설립될 수 있고, 각급 학교 과정이 병설되거나 통합되어 운영될 수도 있습니다.

https://www.isi.go.kr/






대안교육기관 현황
대안학교(각종학교) [50교 : 공립22교 / 사립28교]

시도
학교명(과정)
설립
구분
인가
연도
소재지
시도
교명(과정)

구분
인가
연도
소재지
서울
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고)
사립
’08
중구 신당동
강원
해밀학교(중)
사립
’18
홍천군 남면
노천초등학교(초)
공립
’19
홍천군 동면
여명학교(중·고)
사립
’10
중구 남산동
충북
글로벌선진학교(중·고 통합)
사립
’10
음성군 원남면
지구촌학교(초)
사립
’11
구로 오류동
한국폴리텍다솜고등학교(고)
사립
’12
제천시 강제동
서울다솜관광고등학교(고)
공립
’12
종로 숭인동
다다예술학교(초·중 통합)
사립
’17
청주시 상당구
부산
송정중학교(중)
공립
’19
강서구 송정동
은여울중학교
공립
’17
진천군 문백면
대구
대구해올중고등학교(중·고 통합)
공립
’18
대구 달서구
은여울고등학교
공립
’21
진천군 문백면
충남
여해학교(중)
공립
’13
아산시 염치읍
인천
인천청담고등학교(고)
사립
’11
연수 동춘동
드림학교(고)
사립
’18
천안시 충절로
인천해밀학교(중․고 통합)
공립
’12
남동 구월동
충남다사랑학교(고)
공립
’19
아산시 둔포면
인천한누리학교(초·중·고 통합)
공립
’12
남동 논현동
전남
월광기독학교(중·고)
사립
’18
함평군 대동면
광주
월광기독학교(초)
사립
’14
서구 화정동
성요셉상호문화고등학교(고)
사립
’18
강진군 강진읍
대전
새소리음악고등학교(고)
사립
11
서구
도마동
이음학교(중)
공립
’20
광양시 광양읍
새소리음악중학교(중)
사립
’16
서구 도마동
송강고등학교
공립
’21
담양군 봉산면
울산
울산고운중학교
공립
’21
울주군 두서면
경북
한동글로벌학교(초·중·고 통합)
사립
’11
포항시 북구
로벌선진학교문경(중·고 통합)
사립
’12
경시 영순면

경기
티엘비유글로벌학교(초·중 통합)
사립
’08
고양시 덕양구
산자연중학교(중)
사립
’13
영천시 화북면
화요일아침예술학교(고)
사립
’11
연천군 전곡읍
나무와중학교(중)
사립
’13
영천시 대창면
쉐마기독학교(초·중·고 통합)
사립
’11
양주시 은현면
링컨중고등학교(중·고 통합)
사립
‘17
김천시 대덕면
새나래학교(중·고 통합)
사립
’11
용인시(휴교중)
대경문화예술고등학교(고)
사립
’17
경산시 자인면
경기새울학교(중)
공립
’13
이천시 율면
경남
경남꿈키움중학교(중)
공립
’14
진주시 이반성면
광성드림학교(초·중·고 통합)
사립
’14
고양시 일산구
경남고성음악고등학교(고)
공립
’17
고성군 하일면
하늘꿈중고등학교(중·고 통합)
사립
’15
성남시 수정구
밀양영화고등학교(고)
공립
’17
밀양시 상남면
중앙예닮학교(중·고 통합)
사립
’18
용인시 수지구
김해금곡고등학교(고)
공립
’20
김해시 한림면
노비따스음악중고등학교
(중·고 통합)
사립
’19
가평군 설악면
거창연극고등학교(고)
공립
’20
거창군 위천면
군서미래국제학교
(초·중·고 통합)
공립
’21
시흥시 정왕동
남해보물섬고등학교
공립
’21
남해군 창선면
신나는 학교(중·고 통합)
공립
’22
안성시 보개면

□ 대안교육 특성화중학교 [19교 : 공립5교 / 사립14교]

시도
학교명(과정)
설립
구분
지정
연도
소재지
시도
학교명(과정)
설립
구분
지정
연도
소재지
대구
한울안중학교
사립
’18
달성군
강원
팔렬중학교
사립
’11
홍천군
가창중학교
사립
’18
달성군
가정중학교
공립
’17
춘천시
광주
평동중학교
공립
’14
광주시
전북
전북동화중학교
공립
’09
정읍시
살레시오여자중학교
사립
’22
광주시
지평선중학교
사립
’02
김제시
경기
두레자연중학교
사립
’03
화성시
전남
용정중학교
사립
’03
보성군
이우중학교
사립
’03
성남시
성지송학중학교
사립
’02
영광군
헌산중학교
사립
’03
용인시
청람중학교
공립
’13
강진군
중앙기독중학교
사립
’06
수원시
나산실용예술중학교
공립
’18
함평군
한겨레중학교
사립
’06
안성시
경남
상주중학교
사립
’15
남해군

대병중학교
사립
’21
합천군


□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25교 : 공립5교 / 사립20교]

시도
학교명(과정)
설립
구분
지정
연도
소재지
시도
학교명(과정)
설립
구분
지정연도
소재지
대구
달구벌고등학교
사립
’04
동구
충남
공동체비전고등학교
사립
’03
서천군
인천
산마을고등학교
사립
’00
강화군
전북
세인고등학교
사립
’99
완주군
푸른꿈고등학교
사립
’99
무주군
광주
동명고등학교
사립
’99
광산구
지평선고등학교
사립
’09
김제시
경기
두레자연고등학교
사립
’99
화성시
고산고등학교
공립
’18
완주군
경기대명고등학교
공립
’02
수원시
전남
영산성지고등학교
사립
’98
영광군
이우고등학교
사립
’03
성남시
한빛고등학교
사립
’98
담양군
한겨레고등학교
사립
’06
안성시
한울고등학교
공립
’12
곡성군
강원
전인고등학교
사립
’05
춘천시
경북
경주화랑고등학교
사립
’98
경주시
팔렬고등학교
사립
’06
홍천군
경남
간디고등학교
사립
’98
산청군
현천고등학교
공립
’14
횡성군
합천평화고등학교
사립
’98
합천군
충북
양업고등학교
사립
’98
청주시
지리산고등학교
사립
’04
산청군
충남
한마음고등학교
사립
’03
천안시
태봉고등학교
공립
’10


300x250